올 한해 저수온·고수온 연이은 직격탄...여수 앞바다, 괜찮나
올 한해 저수온·고수온 연이은 직격탄...여수 앞바다, 괜찮나
  • 강성훈
  • 승인 2023.09.19 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월 고수온으로 642만 마리 118억원 피해...3월 저수온 피해까지
고수온특보 기간, 2017년 32일→2022년 64일...피해는 눈덩이
기후변화 대응할 수산업 대책 시급, 양식기술 개발도 서둘러야
올 여름 고수온 피해가 컸던 여수지역 양식장 현황을 살피고 있는 정기명 시장.
올 여름 고수온 피해가 컸던 여수지역 양식장 현황을 살피고 있는 정기명 시장.

 

지난달말 여수에서는 양식장 어류 집단 폐사가 발생하면서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게 생겼다. 지난 24일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가 본격화되면서 지역 수산업계의 극심한 피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고수온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는 양식어류 집단 폐사가 발생해 지역 어민들의 이중고를 겪고 있다.

지난 겨울 저수온 피해에 이어 여름 고수온 피해까지 이어지면서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분야 피해가 일상화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근본적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여수시 등에 따르면 지난 15일부터 2주여간 돌산과 화태 등 여수지역 양식장 113개 어가에서 어류 집단 폐사 신고가 잇따랐다.

어민들이 신고한 폐사 규모는 642만여마리에 금액으로 118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다만, 최종 피해 규모는 일부 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양식 어종은 고수온에 취약한 우럭이 대부분이다.

 

올해 고수온, 예년과 달랐다

이번 피해는 고수온으로 추정되는데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최근 폭염이 지속되면서 수온이 계속 상승해 지난 25일에는 남해 중부 연안에 고수온 경보를 발령하기도 했다.

이들 해역의 수온은 여수 송고가 28.0℃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평균 27.9~28.0℃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1년전 수온이 23.1도인 것을 감안하면 올해 고수온의 심각성이 더 도드라진다.

여수 앞바다에서는 지난달 초부터 고수온 경보가 이어져 왔다.

또, 바다 고수온의 경우 예년에는 내해에서부터 외해로 확산되는 양상이었는데, 올해는 외해에서부터 내해쪽으로 밀려오는 양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같은 현상은 처음으로 추후 고수온 피해 대책 마련을 위해서도 정확한 원인 규명이 필요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최근 수년사이 수산업피해 눈덩이

일각에서는 최근 일련의 바다 환경 변화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겨울철 저수온 피해와 여름철 고수온 피해가 일상화되고 있다며 이에 따른 중단기 대응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실제 여수에서는 지난 2021년에도 화정면과 월호도 인근 13개 양식어가에서 우럭 등 160여만마리가 집단폐사해 10억원 가량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앞서 2019년에도 10개 어가에서 31만마리의 양식 어류가 집단폐사하면서 5억4천여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저수온 피해도 반복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돌산과 화정면 등 64개 어가에서 340여만마리 양식 물고기가 폐사했다는 신고가 접수돼 원인 조사에 나선 결과 저수온에 따른 피해라고 결론내렸다.

지난 2018년에도 돌산읍·화정면·남면 일대 해상의 가두리양식장 45곳에서 감성돔·참돔·돌돔 126만8000여마리가 폐사해 21억여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처럼 최근 심화되고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여름철에는 고수온, 겨울철에는 저수온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연안과 내만에 위치한 양식장을 중심으로 양식생물 피해가 매년 끊이지 않으면서 근본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수산정책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양식장 피해, 고수온·저수온·한파 순

국립수산과학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12년간(2011~2022) 자연재해에 따른 피해 규모는 총 2,382억원이었고, 자연재해19)의 종류는 고수온, 적조, 저수온, 태풍, 이상조류, 괭생이모자반 유입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2011~2022년 가장 큰 피해를 준 자연재해는 고수온으로, 그 피해액은 1,250억원으로 전체 피해액의 53%였다. 다음으로 적조는 피해액이 492억원(21%) 저수온은 268억원(11%)의 피해가 발생했다.

빈산소 수괴와 이상조류는 재해의 5%로 피해금액은 120억원과 118억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양식생물 피해가 가장 많았던 2018년도에는 고수온, 저수온, 한파로 713억원의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그중 고수온의 피해는 605억원, 피해 지역은 경남, 전남, 충남, 제주도 850어가, 피해물량은 넙치, 전복, 조피볼락, 돔류 등 63,963천 마리가 폐사했다.

2021년 고수온 피해는 통영, 거제, 고성, 남해, 하동, 여수, 완도, 신안, 고흥의 598어가 어류 1,797만 마리, 굴·홍합 697줄의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피해금액은 217억원이 발생했다.

추가 피해신고로 조사한 전남지역 3,437어가에서 고수온으로 김, 미역, 새꼬막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피해금액은 95억원이었다.

 

피해복구 비용도 계속 확대

잇따른 피해에 이어 피해복구 비용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2021년도 피해복구 비용은 전체 3,815어가에 복구소요액 360억원으로 국고지원액은 122억원이 소요됐다.

2022년은 이상조류에 인한 해조류 피해가 해남군에서 발생했으며, 피해 원인으로 김 양식장은 어장 내 규조류인 실린드로데카의 대량발생에 따른 낮은 영양염 농도가 지속되면서 김 황백화 피해 발생이 추정됐다.

피해규모는 653어가에서 김, 다시마 양식장에서 피해가 발생해, 김 527어가, 2,393.5ha, 47,871책, 피해 금액은 4.8억이었고, 다시마 139어가, 21.4ha, 8,420줄, 피해 금액은 1.7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2023년 저수온 발생*으로 전남도 여수, 경남도 남해 지역에 어류(돔류, 조기류) 폐사가 발생해 61개 어가, 192만 6천미, 48억 8백만원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대안은 새로운 품종 개발·기후변화 적응 품종 개발 투트랙

해양수산부는 이같은 피해 반복에 따른 대응책에 고심하고 있다.

우선 이상기후에 따른 이상 수온 발생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해 실시간 수온관측망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현재 180개 소인 것을 2024년 190개소, 2025년은 200개소까지 늘려나갈 계획이다.

또, 고수온특보 기간이 2017년 32일에서 2022년 64일로 점차 길어지는 양상을 나타내는 등 장기적인 해양 온난화와 이상 고수온 등 수산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기후변화 대응 양식 관련 연구는 새로운 양식 대상 종의 개발과 기후 변화 적응 품종 개발 등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국내 수산업,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높아

국립수산과학원은 “우리나라 수산업은 높은 해양온난화 경향, 잦은 이상기후 발생, 높은 어획강도, 독특한 양식 환경 및 높은 국민들의 수산물 선호도 등으로 인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또, “수산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 국가 온실가스 배출의 약 0.4% 내외로 높지 않은 수준이지만, 탄소중립 실현을 위하여 저감 방안 마련이 필요함과 동시에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에 대응하기 위한 감시, 관측, 예측 기술의 개발과 적응 기술의 개발 및 보급 등 기후변화 적응력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과거부터 수행된 해양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해역의 해양온난화, 성층 강화 등 물리적인 변화가 저층으로부터의 표층 영양염 공급 감소, 기초생산력 감소 및 식물플랑크톤 소형화 등 생화학적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입증했다”며 “지속적인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다만, “수산업은 기후변화 요소 뿐만아니라 비기후적 요소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고 있다”며 “어선어업의 경우 조업구역 축소, 과도어획, 연안개발, 연안오염, 어린물고기 포획, 유류비 상승, 조업어선 감소 등 다양한 비기후적 요소가 어업생산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속가능한 수산업 실현을 위해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양한 정책, 연구, 어업현장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비기후적 요소에 따른 어업생산성의 부정적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올 한해에만 저수온과 고수온 피해를 잇따라 마주한 여수 수산업이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정책적 대응책 마련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