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표적 고전소설 춘·향·전
한국의 대표적 고전소설 춘·향·전
  • 남해안신문
  • 승인 2006.08.14 09: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춘향전은 작자·연대 미상. 현재 국문본·한문본·국한문혼용본 등 70여 종에 달하는 이본이 전한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 영조·정조 시대에 생성되어 개화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승되는 이야기이다. 그동안 구전과 필사본으로 전해오다가 독자들의 요구가 증대하면서 목판본과 활자본 등으로 출간되었다.

이에 따라 그 내용이 늘어나기도 하고 축약되기도 하면서 내용과 형식상의 변모가 있었다.

그리하여 경판 16장과 같이 불과 7000자 안팎의 짧은 이본이 있는가 하면, 완판 84장본같이 2만 자 정도의 긴 작품도 있고 필사본 〈남원고사 南原古詞〉처럼 무려 10만 자에 이르는 장편도 있다. 이 작품의 개작과정에서 일어난 변모는 단지 내용전개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작품의 양식에서도 보인다.

이 작품은 소설로서뿐만 아니라 판소리·희곡·시나리오·오페라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개작되었다. 이에 따라 제목도 〈춘향전〉·〈춘향갠·〈열녀춘향수절갠·〈광한루기 廣寒樓記〉·〈광한루악부 廣寒樓樂府〉·〈남원고사〉·〈옥중화 獄中花〉·〈옥중가인 獄中佳人〉 등으로 다르게 붙여졌다.

〈춘향전〉은 설화를 바탕으로 해서 이루어진 소설이다. 이 작품의 근원설화로는 여러 가지가 거론되는데, 작품의 근간을 이룬 설화로는 〈박색터설화〉·〈암행어사설화〉를 들 수 있다.

이 작품은 구전설화를 근원으로 해서 흘러다니다가 문자로 정착되었고, 이후에도 구전설화·소설·판소리 등의 형태로 끊임없이 유동되면서 새로운 모습으로 변모됐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요소들이 쌓이고 덧붙여지게 되는데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흥미를 돋우기 위해서 여러 가지 요소들을 작품 안에 받아들였다.

한시·시조·가사·속담·서간문·민요 등 여러 형식의 문학양식이 다양하게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문체도 복합적 성격을 보이고 있어서 양반사회의 고상한 어투와 서민사회의 상스러운 어투가 혼재한다.

〈춘향전〉은 일관성의 결여, 논리의 상실 등 몇 가지 결함을 가진 것으로 지적받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서민문학의 걸작으로 평가된다. 그것은 서민들에게 친근한 소재를 취택하고 있고 서민사회의 예술양식인 설화와 판소리를 통해 전파됐으며 서민사회의 꿈과 정서를 절실하게 표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