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명기칼럼] 금리 움직임이 주가에 끼치는 영향
[민명기칼럼] 금리 움직임이 주가에 끼치는 영향
  • 민명기
  • 승인 2006.05.20 14: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리인상은 자산가치 하락, 소비줄고 기업생산성 둔화

지난 18일 코스피지수가 1360.76로 폭락했다. 전날보다 40.71 포인트 떨어져, 한달여만에 1400선 아래로 내려갔다. 외국인의 대거 매도세가 나타난 게 직접적인 원인이다.
외국인은 멈추지 않고 거의 1주일동안 연속‘팔자’에 나서, 4128억원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지난달 25일부터 이날까지 3조4628억원을 순매도해, 지난해 전체 순매도 규모 3조229억원을 넘겼다.

그러나 일단 하락을 멈추고 주가는 반등했지만 여전히 종합주가 지수는 1400 포인트 아래에 머물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증시전망에 대한 낙관론과 비관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기존 대세 상승의 낙관론이 지배하던 분위기와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멈춘데는 기관의 브레이크 역할이 있었다.

외국인의 매도세에는 원유와 금속 등 원자재 값 급등락과 미국 금리 인상 우려 등 불안요인이 작용했다. 최근 원자재 값 급등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촉발된 데 하루사이 원자재 값이 다시 급락하고, 경제 지표들이 둔화되면서 세계 증시를 급격히 냉각시켰다. 미국 금리 인상 우려가 겹친 데다, 미국 달러 약세와 중국 위안의 절상 우려 등 환율 악재도 이어지고 있다.

이렇게 되면 전세계적으로 미국의 재정적자에 대해 우려하게 될 것이고 미 달러를 매입하는 것을 주저하게 될 것이다. 미 달러화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미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은 지난 5월 11일 금리를 5%로 0.25% 인상하면서 금리추가 인상으로 ‘인상’ 쓰지 않게 할 것이라고 시사했다.

금리가 인상되면 미국의 자산 특히 주식, 채권, 뮤추얼펀드, 예금등과 같은 자산의 가치가 하락하게 된다. 동시에 대체비용이 높아지면서 일부 부동산 가격은 오르게 된다. 그러나 과대평가된 부동산 가격은 결국 하락하게 되는 것이다.

금리가 무엇이고 어떠한 기능을 하기에 이처럼 한 나라의 금리가 다른 나라 주식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금리란 자금을 빌리는 개인이나 기업이 빌려주는 쪽에 그 이용의 대가로 지불하는 자금의 가격이다. 따라서 금리도 상품가격과 마찬가지로 금융시장에 공급되는 자금의 양이 수요에 비해 많으면 떨어지고 반대로 공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면 올라간다.

금리 움직임에 따라 자금 운용처 결정

이러한 금리의 움직임은 기업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금리가 오르면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여유자금을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하기보다 은행에 맡기는 편이 유리할 것이다. 소비면에서도 할부로 자동차나 냉장고를 구입하는 일은 가급적 하지 않으려 한다. 금리상승으로 그만큼 이자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반가정에서 저축을 늘리고 소비를 줄이면 기업의 생산활동은 둔화된다. 또한 자금조달 비용까지 커진 기업들은 투자에도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자연히 일자리가 줄어들고 소득수준도 낮아지면서 나라 전체의 경제활동이 위축된다.

반대로 금리가 내리면 돈값이 싸져 일반가정에서는 돈을 빌려서라도 자동차를 사고 주식이나 부동산에도 투자하려 할 것이다.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기업의 생산활동은 활발해지고 값싼 자금을 빌려 투자도 확대한다. 결국 나라 전체의 경제활동은 활기를 띠게 된다.

연초 주가는 긴 조정을 보이다 지난 4월 우리 주가가 오름세로 돌아선 것도 바로 미국은 더 이상 금리인상을 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로 인해 미국경제가 회생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감 때문이었다.

그렇다면 금리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은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 상품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면 물가가 크게 상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리는 생산활동도 위축시키지 않고 물가도 안정될 수 있는 적정수준에서 유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각국의 중앙은행이 바로 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금융시장에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금리가 존재한다. 예금이나 대출과 같이 자금거래 당사자간 계약에 의해 결정되는 금리가 있는가 하면 콜금리, 국고채 및 회사채 유통수익률과 같이 다수의 자금거래 당사자가 참가하여 공개경쟁방식으로 결정되는 시장금리가 있다. 자금을 빌려주는 기간에 따라서도 하루짜리 콜금리에서부터 10년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까지 다양하다.

이와 같이 여러 종류의 금리가 있지만 이들은 차입자의 신용도, 빌리는 기간 등을 기준으로 스펙트럼처럼 일정한 체계를 갖고 있다. 국고채는 차입자가 정부이기 때문에 자금회수에 문제가 없으므로 유통수익률이 낮은데 비해 회사채는 발행기업의 상환능력 등을 반영하여 유통수익률이 높게 형성된다.

또 동일한 기업이 빌리는 자금이더라도 일반적으로 만기가 길수록 불확실성이 커지므로 금리수준이 높아진다. 이러한 금리체계하에서 어느 한 금리가 변하게 되면 이는 금리재정거래를 통해 다른 금리에까지 잇따라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단기금융시장에서 자금이 풍부해져 단기금리가 내려가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장기금융자산쪽으로 자금이 이동하여 장기금리도 함께 낮아지는 것이다.

금융통화위 결과에 촉각 곤두세우는 까닭

이처럼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금리체계를 바탕으로 중앙은행은 금융기관간에 일시적인 자금과부족을 조절하는 시장인 콜시장의 금리에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금리수준이 변동되도록 유도한다. 금리를 낮추고자 할 때는 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중앙은행이 사는 방식으로 금융기관에 자금을 공급한다.

그러면 콜시장의 자금사정이 좋아져 콜금리가 우선 하락하고 이는 금리재정거래를 통해 연쇄적인 금리하락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반대로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금융기관에 매각하여 자금을 흡수하면 금리는 전반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한국은행도 다른 나라 중앙은행과 마찬가지로 물가와 실물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토대로 매월 초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콜 목표금리를 인하 또는 인상하거나 아니면 현 수준에서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공표하고 있다. ♣ by 경제칼럼니스트 민명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