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집단의 사회적책임(CSR)
대기업집단의 사회적책임(CSR)
  • 이무성 기자
  • 승인 2016.03.01 0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무성의 거꾸로 보는 열린경제-155

한국은행의 현행 기준금리는 연1.5%이다.

기준금리를 둘러싸고 이에 대한 적절성 논란도 있었다.

경기침체에 따라 기준금리를 더 인하해야 한다는 주장이 소수 의견이지만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원으로부터 제기되었다.

그만큼 금리인하에 대한 사회적인 절박성이 있다는 증표이다.

일반적으로 경기 활황 시에는 금리를 인상하여 경기를 진정시키는 금융정책을 취한다.

반면에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투자동기를 부여하기 위하여 기준금리를 인하시킨다.

그러나 한국의 상황은 특이한 상황에 처해있다.

기업 특히 대기업들은 유보이익을 계속 쌓아두어서 내부적으로 자금이 풍부하다.

그럼에도 투자를 위한 자금사용에는 인색하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도 역행을 하고 있는 셈이다.

기업에 거는 대중들의 기대는 일자리 창출을 통하여 소득도 증가시키고 동시에 물질적인 삶의 질도 높일 수 있는 양질의 제품에 대한 공급이다.

특히 한국의 대기업들은 한정된 자원의 기업으로의 집중적인 지원으로 인하여 그 성장의 과실이 기업집단에 남도록 하였다.

중소기업, 자영업자들에 비하여 특혜성 지원을 지속적으로 대기업군에 정부에서 쏟아 부었다. 특정지역에 자원을 집중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기업의 규모화를 정부에서는 의도적으로 강행하였던 것이다.

청년실업문제는 현재로서는 아주 심각한 편이다.

적정한 소비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청년실업에 대한 해소가 우선적인 정책과제로 대두되어야 한다.

특히 대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대의명분 이전에 자신들이 받았던 그 수혜를 젊은 층들의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서야 한다.

청년실업은 당사자들의 책임보다는 사회제도에 기인한다.

대기업들은 업종 다각화를 통한 문어발식 확장을 통한 예전의 몸집불리기의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

자신들의 전문성을 더욱 정교화 하여 그 활동영역을 국내에서 벗어나 국외로 돌려야 한다. 국내의 협소한 시장에서 중소기업이나 자영업자들의 생존영역을 더 이상 침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소수 대주주에게만 그 경제적인 과실이 집중되는 현재와 같은 비대칭적인 경제현상을 스스로 개선해야 한다.

이는 국가 전체적으로 당연 적용되어야 한다.

지역에서도 그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한 기업들이 최소한 CSR로서 사회적 책임에 충실해야 한다.

여수 지역의 경우도 공단을 중심으로 쌓여지기만 하는 유보소득을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사회경제적 약자들과의 공생을 위한 경제윤리 관점에서 활용하는 적극적인 자세들이 대기업집단에서부터 모범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