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강조에만 올인, 박람회 정신은 뒷전”
“수익성 강조에만 올인, 박람회 정신은 뒷전”
  • 강성훈 기자
  • 승인 2013.05.21 0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람회 1주년 = 박람회 사후활용계획 무엇이 문제인가 >
주제에 부합하는 활용방안 절실...정부의지가 관건

▲ 여수세계박람회 개최 1주년을 즈음해 사후활용 청사진을 새롭게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새로운 박람회 사후활용 청사진을 제시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기존 사후활용계획이 상당부분 현실과 괴리가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수익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박람회 정신을 계승할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조상필 전남발전연구원 지역발전연구실장은 지나 10일 엑스포홀에서 열린 박람회 1주년 기념 심포지움에서 ‘현 사후활용계획의 평가 및 진단’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정부의 사후활용계획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제기했다.

조 실장이 분석한 현 사후활용계획은 가장 큰 오류는 박람회 주제와 부합하는 활용방안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정부 실행계획 실행의지 의문
여수세계박람회의 주제인 ‘바다와 연안’의 건강성을 회복해 기후변화와 자원고갈, 생태계 파괴 등 인류 현안 과제 해법을 제시하는 활용 계획이 전혀 없다.

또, 박람회장내 여수박람회 기념관, 해양과학관, 해양관련 국제기구 유치를 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실행을 위한 정부출연금(3,846억원)의 활용방안 제시 또한 미흡하다.

정부안에 따르면 박람회 행사 종료 후 박람회 개최를 위채 선투입된 정부재정 4,846억원을 상환해야 한다.

정부는 상환을 위해 부지와 시설을 매각해 2013년까지 전액상환하돼 매각지연이 불가피할 경우 2015년까지 분할상환키로 한 바 있다.

지나친 민간자본 의존...정부는 뒷짐
전시장 활용을 지나치게 민간자본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정부는 박람회장을 3개 구역으로 구분해 2년내 민간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박람회 주제와 사후활용시설과 연계한 선도적인 투자계획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핵심시설 이외의 새로운 컨텐츠 개발도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지난달 재개장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박람회 재단의 시설투자비와 콘텐츠 개발 예산이 전무한 실정이어서 핵심콘텐츠 위주의 재개장은 볼거리 빈약으로 관람객 방문 저조라는 악순환을 반복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국제사회 약속 내팽개치나
여수프로젝트와 여수선언 이행을 위한 정부의 지원도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여수프로젝트는 박람회 유치당시 국제사회에 공한한 저개발국 지원사업으로 1천억원 기금 조성으로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정작 올해 반영된 예산은 20억원에 불과하다.

정부는 기금마련을 위해 수익금, 민간기부금, 국제기구 출연분 등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정부재정은 제외돼 재원확보 곤란으로 사업추진 차질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제1문 주차장 매각시 주차난 불보듯
일부 시설에 대한 현실문제를 반영하지 않은 매각계획도 사후활용 활성화의 한계로 드러나고 있다.

정부는 기존 설치된 주차장도 마리나 구역에 포함해 민간에게 매각할 계획이다. 하지만 제1문 셔틀버스 주차장을 민간에 매각할 경우 오동도 입구는 심각한 주차난이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제1문 셔틀버스 주차장 방향은 아쿠아리움과 박람회장, 엠블호텔, 오동도가 위치해 이들 시설을 찾는 방문객만 하루 최대 5만여명에 이를 정도여서 민간 매각시 이 일대의 심각한 주차난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또, 정부가 박람회장과 인근지역을 남해안 선벨트의 핵심거점으로 조성한다는 사후활용 계획을 발표했지만 연안여객선의 경우 차량 선적시설이 미비해 선사들이 운항을 기피하고 있는 마당에 정부계획이 얼마나 실현가능할 지 의문이다.

이밖에 여수신항 대체항만 조성지연으로 올해말 입주예정인 해양경찰학교 관공선 정박장소도 전무한 실정이고, 기존 역무선들도 어항인 국동항에 정박함에 따라 어민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지방세 감면제도 마련 지연도 사후활용 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

개최도시 정체성 유지가 주요 과제
이 같은 분석을 통해 조 실장은 “사후활용계획은 지역의 역할과 역량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지역사회가 수긍하는 합의된 활용계획이 마련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조 실장은 현재의 사후활용계획 검토시 공공성과 수익성을 고려한 박람회장 활용 계획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재의 사후활용계획은 수익성 위주의 경제적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여수박람회 정신과 성과 계승을 위한 시설별 활용계획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여수선언?여수프로젝트 등 유무형의 수익창출을 위한 사업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효율적 사후활용을 위해 “박람회 단지를 컨벤션?비즈니스 중심지구, 연구?체험?교육지구, 해양복합문화지구, 휴식?휴양지구 등 4개 지구로 구분, 지구별 기능을 설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국관과 엑스포홀 등을 박람회 기념관, 해양과학관 등으로 조성해 박람회 개최도시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주요 과제다.

특히, 여수선언과 여수프로젝트를 추진할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기금 확보 방안의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하고, 실현을 위해 ‘여수세계박람회 지원법’에 구체화할 것을 주문했다.

외부 관광객 아닌 시민중심 계획돼야
박람회 주제와 연관된 사후활용 방안 모색 또한 중요한 과제다.

여수선언과 여수프로젝트를 통해 표현된 ‘해양과 연안’에 관한 박람회 주제 계승?발전시키는 공간으로 재창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남해안 기후변화 대응연구센터 설립, 남해안 기후변화 방재센터, 해양쓰레기 대응센터 분원 유치, 한국해양수산기술원 여수 분원 유치 등을 제시했다.

또, 정부 선투자금에 대해서 박람회 계승을 위한 공공사업에 선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과 제1문 입구 주차장 확충, 여객선터미널의 접안시설 조기 확충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지역민의 참여와 구체적인 사후활용 로드맵 제시가 우선돼야 한다

조 실장은 “사후활용에 대해 지나치게 외부 관광객을 강조하는 것보다 지역민의 이용을 중심에 놓고 그 토대위에 관광객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