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화력발전소 건립, ‘환경오염VS지역발전’ 팽팽
여수 화력발전소 건립, ‘환경오염VS지역발전’ 팽팽
  • 정송호 기자
  • 승인 2012.09.23 18: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의회 18일 발전소 건설 의향업체 2곳 사업설명 기회 줘
호남화력 “현 발전소 대체발전소 기능, 규모↓ 환경대책 ↑
한양건설 “본사 여수에, 해상매립 등 3無 대기오염 등 2小

 

▲ 지난 18일 여수시의회에서 열린 화력발전소 건립의향 업체의 사업설명회. 이날 간담회에는 시의원 22명이 참여해 지역민들의 관심만큼이나 높으 참여율을 보였다.
여수시와 여수시의회가 화력발전소 건립을 놓고 찬반 여부 입장을 밝히기 위한 지역 내 여론수렴에 착수했다.

특히 시와 의회는 화력발전소 건립에 대해 환경오염과 지역경제 활성화 사이에서 의견이 팽팽하지만 찬성 쪽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하지만 시와 의회 중 누가 먼저 의사를 밝힐 지 서로 눈치를 보고 있다.

여수시의회는 시에 이어 지난 18일 오후 2시 50분께부터 전체의원 간담회를 갖고 지식경제부에 여수산단 내에 화력발전소 건립 의향서를 제출한 (주)한양과 한국동서발전(주)로 부터 사업계획을 청취했다.

시의원들은 사업계획을 청취하고 공유수면 매립여부와 석탄야적장, 회처리장, 온배수 문제, 이산화탄소 배출, 지역사회 환원계획 등 환경문제와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에 대한 질문을 쏟아냈다.

박정채 의장은 인사말을 통해 “그동안 광양만권 내 발전소들이 환경오염을 야기한 만큼 지역사회에 기여도는 미비했다”면서 “집행부의 정확한 의견을 보고 의회의 의견을 결정할 것이다”고 밝혔다.  

호남화력, 고효율 저비용 대체발전소 필요
 
한국동서발전소(주) 호남화력은 2020년 현 발전소의 폐쇄에 따른 대체발전소의 건설에 목적으로 두고 2조 5700억 원 투자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신규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호남화력대체발전소는 현 발전소 회처리장(37.3만㎡)과 해상 매립(24.7만㎡)한 62만㎡의 부지에 오는 2014년 4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석탄화력 1000㎿ 1기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당초 호남화력은 지난 지난해 설비용량 2000㎿급 발전소 건설을 위해 해상매립에 대한 지역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해양생태계 파괴 및 이산화탄소 배출 등 환경문제로 이유로 반대 의견을 들은바 있다.

하지만 호남화력은 이런 반대급부를 해결하기 위해 발전소 규모와 해상매립면적을 2년 전보다 53%를 축소하고 대기배출물질(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및 먼지의 배출총량) 총량도 당초보다 65%를 감소한 연간 3474톤의 배출을 예상했다.

이외에도 호남화력은 최신 대기오염방지설비로 현 발전소 대비 대기배출물질 총량 50%감소, 옥외에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발전소, 먼지 비산이 최소인 고농도 회처리장, 연구개발 중인 CCR(Carbon Capture & Storage)의 상용화 기술적용으로 이산화탄소 저감 등에 대한 환경대책을 수립해 놓고 있다.

또한 발전소 단지 내에 신재생에너지 타운 조성 계획과 지역주민 우선고용가점 부여와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지원협약 체결, 그리고 주민편의시설 설치 지원, 유소년 스포츠 활동 활성화 지원 등에 대한 지역사회 기여대책도 밝혔다.

“법적 사항 말고 직접 뭘 해줄 수 있냐?”

사업설명을 들은 시의원들은 신호남화력 대체발전소 건립과정 예상되는 공유수면 매립과 온배수 문제로 인한 해양생태계 파괴 문제와 회처리장, 옥외 저탄장 그리고 이산화탄소 저감 등 대기오염 대책에 관련한 질문을 쏟아 냈다.

주연창 의원은 “해상매립으로 인한 한양과의 발전소 규모 차이와 지역사회 환원 규모에서의 차이”와 김상일 의원은 “한양의 무회처리장 운영과 비교한 회처리장의 필요여부”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이에 대해 호남화력은 “소각한 탄의 70~80%가 회로 나올 수밖에 없고, 일부는 시멘트 회사나 레미콘 회사에 재활용이 되고 있지만 이처리 방식은 건설경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어 회처리의 안정성을 위해서라도 처리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전창곤 의원은 “광양만권이 발전소의 온배수 문제로 천혜의 어류 산란장 기능을 잃은 지 오래됐다”며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온배수 처리문제에 대한 질문했다. 이어 노순기 의원과 김성식 의원도 해양생태계 파괴에 대한 대책을 따졌다.

이 문제에 대해 호남화력은 “온배수 문제에 대해서는 직접 해상으로 배출하지 않고 소수력 발전 등을 통해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해 놓고 있다”고 제시했다.

이어 최대식 의원과 서완석 의원은 지난해 공유수면 매립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의회가 반대를 했었다고 확인시켜줬고, 법적으로 지역에 해주는 것 외에 발전소에서 직접 해줄 수 있는 상생방안에 대해 물었다.

한양, 발전소 본사 여수…직접 지역에 기여

발전소 사업에 처음 진출이라는 약점을 갖고 있는 (주)한양은 한국전력기술(주)의 건설 Know-How 및 한전 발전 자회사인 한국남동발전(주)의 운영 Know-How를 결합해 그린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주)한양의 그린발전소는 삼일동 산 36-3번지 단지포 일대 17만6000㎡에 2조 1500억 원을 투입해 1000㎿급 발전소 1기를 오는 2014년 8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한양발전소는 회처리장 없는 발전소, 비산탄진 없는 발전소, 폐수방류 없는 발전소, 대기오염과 해양오염 최소화 발전소 건립을 목표로 두고 있다.

석탄을 태우고 난 후의 발생 회를 전량 재활용해 별도의 회처리장이 필요치 않아 추가 공유수면 매립이 필요 없고, 부두에서 발전기까지 전 구간 탄가루가 날리지 않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

폐수 재활용시스템의 적용과 수심 20여m에 냉각수를 배출해 온배수 예상 최대 확산거리를 700여m로 최소화해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한 투자도 계획하고 있다.

대기오염 저감을 위해서도 CCS설비 도입으로 총 277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고, 2020년까지 총 발전량의 10% 규모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해 연간 60만 톤의 온실가스 저감 노력도 아끼지 않는다는 복안이다.

여기에 한양은 발전소 본사를 여수에 둬 여수의 직접적인 지방세수 증대와 지역주민 자녀 우선채용, 그리고 지역주민과 상생을 위해 시-의회-시민단체 등 지역 구성들이 직접 참여하는 공동발전협의회를 구성해 발전소 소득의 환원도 약속했다.  

“주변 석유탱크, 공사 중 안정 문제없냐?”

한양그린발전소 계획에 대해서도 시의원들은 환경문제와 지역사회 발전 기여방안 그리고 공사 중 주변 석유저장시설의 안정성에 대해 질문을 쏟아 냈다.

최석규 의원은 “무회처리장, 무 폐수배출 등의 기술이 실효성이 가능 여부와 공사 중 지역 업체 참여 방안과 지역인재 채용 기준이 무엇인가”와 김유화 의원은 “화력발전은 기후보호국제시범도시 여수와 어울리지 않고, 공사현장의 안전성 여부”에 대해 물었다.

이에 대해 한양은 “각종 환경대책들은 투자비가 얼마가 들더라도 꼭 실천하겠고, 지역인재는 최근 대졸 신입사원 4명 중 2명을 전남대 여수캠퍼스 학생으로 선발을 했고 일정 비율 이상 선발할 것, 온배수의 양식과 영농에 활용하는 것은 시설을 직접 운영할 주민들과 협의해 운영 할 것이다”고 밝혔다.

공사안전성에 대해서는 “주변에 석유저장 탱크가 있어 이미 안전성에 대한 조사용역을 마무리했고, 주변 회사에 협의하며 영향을 주지 않는 공법으로 건설할 것이다”고 설명했다.

박정채 의장은 “25만 톤의 회가 발생하는 것으로 돼 있고, 옥내 회처리 시설을 비상으로 갖추고 있는데 어떻게 무회처리장을 구현한다는 것이냐”고 질문했고, 백인숙 의원은 온배수 문제에 대해 질문했다.

한양은 이에 대해 “지역 시멘트 회사와 구두로 공급과 소비에 대해 협의를 마친 상태고, 이는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비상용으로 저장 사일로를 준비하는 것이고, 온배수 영향의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한 사계절 간 시뮬레이션을 돌려 최적지를 찾아 낼 것이다”고 답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