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보고 싶고, 다시 찾고 싶은 등대
가보고 싶고, 다시 찾고 싶은 등대
  • 임현철 시민기자
  • 승인 2007.02.28 1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남 여수, 오동도ㆍ백야도ㆍ 소리도(연도) 등대 ③
 
▲ 깊어가는 석양 속의 소리도 등대
ⓒ 임현철
 
소리도 등대가 저녁 노을 속에 등대 불을 켭니다. 해가 지고 어둠이 스멀스멀 내리더니 밤낮이 군소리 없이 자리바꿈 합니다. 등대도 거침없이 어둠 한가운데로 들어갑니다. 어둠 속에서 등대 불빛이 환히 빛납니다.

"어, 보름달이네."
"정말이네."
"너무 예쁘다."

바다 위로 봉긋 떠오른 보름달도 덩달아 빛납니다. 아! 보름달과 등대의 묘한 어울림. 섬에서 보는 달, 어쩌면 저리 가슴 저미도록 밝을까? 아쉬움을 뒤로 하고 소리도 등대를 나옵니다. 달빛을 벗 삼아 굽이굽이 산길을 밟습니다. 휘영한 달빛을 밟고 밤길 걷기 그 얼마만인가. 가슴이 콩닥콩닥 뜁니다.

보름달과 등대의 묘한 어울림

 
▲ 까치섬 옆으로 떠오른 보름 달. 등대에서의 달맞이는 행운입니다.
ⓒ 임현철
 
등대 종류는 빛을 이용하는 광파표지, 소리로 감지하는 음파표지, 형상표지, 전파표지 등으로 나뉩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등대는 총 758개 중 유인 41기, 무인 717기가 있습니다.

우선 광파표지(빛)는 직원이 상주하는 유인등대와 사람이 없는 무인등대, 장해물을 알리기 위해 암초 등에 설치하는 등표, 바다 위에 설치한 등부표, 통항이 곤란한 수로를 표시하는 도등, 항구를 나타내는 등주로 나뉩니다.

음파표지(소리)는 등대에 병설되어 안개가 끼면 자동으로 소리를 내는 공기압축시스템인 에어 사이렌, 전기신호에 의해 발음판을 진동시켜 나팔을 울리는 에어혼과 전기혼, 사람의 힘으로 종을 때려 울리는 무종으로 구분됩니다.

형상표지(모양)는 암초에 설치되어 빛을 발하지 않는 입표, 선박에 장해물과 항로를 알리면서 빛을 발하지 않는 부표로 구분됩니다. 또 전파표지로 기상조건에 영향 받는 일이 적고, 전파의 전파범위가 커 광범위한 해역에서 사용하는 레이콘이 있습니다.

광파표지는 일몰시에 점등하고 일출시에 소등하며, 음파표지는 눈ㆍ비ㆍ안개 등으로 시야 1.5 해리 이하일 때 밤낮으로 취명합니다. 또 전파표지는 기상변화와 관계없이 24시간 계속 운영합니다.

무인표지 도색은 육지초인표지ㆍ연안표지의 등탑은 흰색 도장으로, 좌현 방파제 등대는 흰색에 녹색등을 설치하고, 우현 방파제등대는 붉은색 도장에 홍등을 설치합니다. 이 무인표지의 도색은 2~3년 주기에 한 번 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소리도 등대의 광파표지는 흰빛으로 12초 마다 한 바퀴 돌며, 광달거리는 48km에 이릅니다. 음파표지는 에어 사이렌으로 취명 주기는 매 54초당 1회이며, 음달거리는 5km입니다.

백야도 등대의 광파표지는 백색으로 20초 주기로 돕니다. 광달거리는 37Km이며, 음파표지는 전기혼으로 소리 주기는 매 40초에 1회이고, 음달거리 3km입니다.

오동도 등대는 10초당 1 섬광이며, 광달거리는 46km이고, 음파는 전기혼 방식으로 매 30초마다 1회 취명하며, 음달거리는 3km에 이릅니다.

등대도 애로사항이 있다

 
▲ 레이콘로란-C, 전기혼, 에어 사이렌(위 좌로부터), 등부표, 부표, 등주(중간 좌로부터), 등표, 도등, 무종(아래 좌로부터)
ⓒ 해양수산부
 
 
▲ 오동도 등대
ⓒ 임현철
 
 
▲ 전기혼과 백야도 등대에서 본 섬 풍경
ⓒ 임현철
 
이 등대도 각기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솔팽이 굴 등 기암괴석과 어울려 깍아 지른 벼랑에 서 있는 소리도 등대는 작도로 불리는 '까치섬'과 망망대해가 눈앞에 펼쳐져 멋스러움을 더합니다. 또 등탑 등을 개조한 오동도ㆍ백야도 등대와는 달리 1910년에 건립된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문화적 보존 가치가 높다고 합니다. 등탑 입구 끝선이 기와지붕처럼 마무리 되었고, 유럽풍의 문양 등 맛깔스런 세밀한 건축양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양수산부는 등대를 '꼭 한번 가보고 싶고, 다시 찾고 싶은 등대'로 만들기 위해 새로운 해양문화 체험공간 조성할 예정입니다. 바다를 알고 배울 수 있는 쉼터로 제공하기 위해 맛스런 건축물을 허물고 등대를 신축한다고 합니다.

예술적 조형등대를 설치하여 지역관광 명소로 활용하려는 이 계획이 자칫 문화유산의 파괴로 이어질까 우려됩니다. 신축만이 능사가 아닙니다. 문화유산 보전을 위해 원형을 그대로 두고 옆에 신축하는 방안 등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소리도 등대와 입구의 문양
ⓒ 임현철
 
백야대교를 통해 가는 백야도 등대는 물 사정이 좋지 않아 마을에서 끌어다 먹는 애로사항이 있다고 합니다. 그동안 자체 관정으로 식수를 해결하였으나 수질검사 결과가 좋지 않게 나왔다고 합니다. 해수부에서는 이런 사정을 알고 새로운 식수원 개발을 계획하고 있지만 언제 될지 알 수 없는 노릇입니다.

또 연간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오동도 등대의 항로표지관리원들은 유일하게 오동도를 지키는 주민입니다. 관광객이 돌아간 밤에도 항상 비상대기를 해야 하기에 관사에서 숙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오동도 등대는 2003년 태풍 때 침수로 인한 정전으로 발전기를 돌리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했습니다.

내 마음에 등대는 어디일까? 달빛을 벗 삼아 밤길을 재촉하던 소리도 등대가 생각납니다. 음지에서 묵묵히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며 삶을 살아가는 항로표지관리원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해 봅니다.

 
▲ 노을과 어우러진 소리도 등대 무종
ⓒ 임현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